고혈압 있는 사람 40%가 약도 안 먹고 버틴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지안 작성일24-03-16 06:26 조회406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지난해 11월, 대한고혈압학회(학회장 박창규·고대구로병원)는 우리나라 사람들 대상으로 특화한 '고혈압 팩트 시트'(Korea hypertension fact sheet 2022)를 내놨다.
20세 이상 성인들 중 고혈압이 있는 사람이 1260만 명(29.4%)에 이른다 했다. 전 국민의 거의 30%다. 특히 나이가 많을수록 고혈압 유병률은 더 높았다.
심지어 평소엔 정상이나, 흰 가운 입은 의사 앞이나 다른 긴장된 상황에 맞닥뜨리면 혈압이 확 올라가는 '백의(白衣)고혈압'도 있다. 이 고혈압 유병률도 14.9%나 됐다. 고령, 여성, 임신부, 비흡연자, 비만도가 낮은 경우 등에서 흔히다. 부산 대동병원 김수형 과장(심장혈관센터)은 15일 "단기적으론 별문제가 없다지만, 장기적으로 추적했을 때는 고혈압으로 이어지거나 심혈관질환 발생의 위험이 큰 편"이라 했다.
백의고혈압까지 합하면 전체 고혈압 유병률은 45%에 육박한다. 두 명 중 한 명 꼴이다.
하지만 이들 중 고혈압약을 먹거나 치료 하는 사람은 의외로 적다. 치료 중인 사람만 740만 명, 58.7%에 불과했다. 나머지 40% 이상은 고혈압을 내버려 두고 있다는 얘기다.
부산 온종합병원 이현국 심혈관센터장은 "고혈압을 내버려 두면 몸의 여러 장기, 특히 심장과 뇌, 말초혈관, 신장, 눈 등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고혈압 왜 무서울까
혈압이 높을수록 심장은 더 강력하게 피를 내뿜어야 한다. 부담이 갈 수 밖에 없다. 때문에 심장이 커지는 심비대증부터 협심증, 심근경색, 동맥경화증, 말초혈관질환 등이 연쇄적으로 생긴다. 과부하 상태가 오래되면 심장이 활발히 움직이지 않는 심부전도 온다. 신장이나 눈 등 다른 장기에도 영향을 끼친다.
고혈압이 이처럼 위험하기는 하지만, 일부러 치료를 받지 않은 이들도 있다. 고혈압약은 한 번 먹기 시작하면 평생 복용해야 한다는 속설 탓이다.
고혈압 약 효과는 하루나 이틀 정도까지 밖에 지속하지 않는다. 그래서 평생 먹어야 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고혈압약은 중독성이 없다. 원하면 언제든지 끊을 수 있다. 다만, 약 복용을 중단하면 약을 먹기 전 상태로 되돌아간다는 점은 주의해야 한다.
이 센터장은 "고혈압을 방치할 때 여러 질병과 장애가 생길 수 있으므로 일단 진단 즉시 최대한 빨리 약물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낫다"고 설명했다.
국내 임상연구보고에 따르면 혈압이 140/90㎜Hg 이상인 고혈압 환자는 130/85㎜Hg 미만의 혈압을 가진 사람들에 비해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이 2.6배나 높게 나왔다
고혈압 고험군일 경우 1년마다 진료실 혈압을 측정하는 게 좋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17일은 '세계 고혈압의 날'..."평소 관리 중요해"
이달 17일은 '세계 고혈압의 날'이다. 세계고혈압연맹(World Hypertension League)이 2005년부터 고혈압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만든 기념일이다.
그런데도 평소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자신이 고혈압인지 모르고 있다가 치명적인 심장질환과 뇌혈관질환을 겪는 이들이 점차 늘고 있다.
그렇다면 혈압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일단 정확한 측정이 중요하다. 혈압은 기계, 부위, 측정 환경 등에 따라 변동성이 크다. 진료실 혈압을 표준 방법으로 택해 반복 측정하되, 집에서도 상시적으로 검사해 보는 게 좋다.
20세 이상 성인인 경우 2년마다 진료실 혈압을 측정하도록 한다. 40세 이상이거나 고혈압 가족력이 있는 경우, 그리고 흡연, 음주, 비만 등 고위험군이라면 1년마다 진료실 혈압을 측정한다.
병원에 가면 간단한 피 검사와 엑스레이(X-ray), 심전도 검사를 통하여 고혈압으로 인한 장기 손상의 정도까지 개략적으로 알아볼 수 있다.
24시간 혈압 측정을 통하여 실제 고혈압 기준에 들어가는지도 알아볼 수도 있다. 비교적 젊은 사람에게 고혈압이 생겼다면 원인을 찾기 위해 복부 컴퓨터단층촬영(CT)과 호르몬 검사를 병행하기도 한다. 스트레스 때문에 부신에 탈이 난 '(프라이머리)알도스테론증후군' 등 다른 질환 탓에 고혈압이 생겼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치료 못지 않게 중요한 게 예방이다. 이 센터장은 "체중을 줄여서 적정 체중으로 관리하고 음식 섭취는 되도록 싱겁게 먹고, 담배와 술을 끊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혈압 조절에 도움이 된다"고 했다.
만약 생활 습관의 변화로 혈압 조절이 되지 않거나 혈압이 굉장히 높을 때에는 약물 치료를 해서라도 혈압을 조절해야 한다. 때로는 여러 약물을 같이 먹어야 혈압이 조절되는 경우도 있다.
http://v.daum.net/v/2023051513561205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