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부부라도 여성이 집안일 133분 더 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지안 작성일24-03-18 18:43 조회257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30대 여성 경력단절 여전···출산 계획 없는 부부 ↑
맞벌이 부부라도 여성이 남성보다 집안일을 133분 더 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임신·출산에 따른 경력 단절로 30대 여성 고용률이 확연히 꺾이는 현상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저출산과 우리 사회 변화’에 따르면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시간(2019년 기준)은 아내 3시간 7분, 남편 54분으로 조사됐다. 아내만 취업한 외벌이 가구의 경우에도 아내의 가사노동시간은 2시간 36분으로 남편(1시간 59분)보다 37분 더 길었다. 취업 여부와 상관없이 여성에게 더 많은 가사 부담이 돌아가는 것이다.
가사 부담을 똑같이 나눠야 한다는 인식은 커지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모습이다.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지난해 64.7%로 2002년(45.3%)보다 19.4%포인트 늘었다. 하지만 지난해 실제로 가사를 공평하게 나누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남편 21.3%, 아내 20.5%에 그쳤다.
임신과 출산으로 30대 여성의 고용률이 확연히 꺾이는 현상은 여전했다. 15세부터 64세까지의 여성 고용률 추이가 M자 모양을 띠는 ‘M커브’가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의 여자 고용률 추이가 역(逆)유(U)자형으로 청년층의 경력단절이 눈에 띄지 않는 점과 대비된다.
다만 경력단절 시기가 점차 늦춰지고 있다. ‘M커브’의 아래 꼭지점, 즉 여성의 경력단절이 가장 많은 시기는 2002년 30~34세에서 지난해 35~39세로 늦춰졌다. 결혼 연령이 늘어나고 출산 시기도 늦어지고 있는 결과다. 지난해 여성의 평균초혼연령은 31.3세로 2012년에 비해 1.9세나 늘었다.
만혼·경력단절에 대한 부담 등으로 결혼을 하더라도 아이 한 명도 낳지 않겠다고 응답한 여성이 늘고 있다. 지난 2020년 기준 아이가 없는 기혼여성(15~49세)이 계획하고 있는 자녀 수는 0.68명으로 2010년(1.17명)보다 0.49명 줄었다. 15~49세 모든 기혼 여성 중 추가 자녀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 역시 12.5%로 2010년(15.8%)에 비해 3.3%포인트 감소했다.
http://v.daum.net/v/2023071112441127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